본문 바로가기

주식(Stock)

[미국주식/나스닥/주식용어] 주식 필수용어 가이드 (재무제표)

반응형

 

주식 재무제표, 증시 필수용어 (재무제표)

 

주식을 시작하고 기업의 재무제표를

잘 보라는 말은 수도 없이 봤을 것이다. 

 

그래서 보라니까 보는데....

 

 

흠...

 

걍 SOXL 사면 안됨?

 

 

주린이는 뭘 봐야 할지도

감이 안 잡히고 봐도 좋은 건지 모를 것이다.

 

내가 그랬음; 

 

 

본인이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주린이다.

or

개별주 투자는 하는데 재무제표는 모른다.

(좀 보자)

 

 

보진 않더라도 주식을 한다면

현명한 투자자인 척 가오 잡아보려면 

아는 척이라도 해야 신뢰가 생기니.

 

 

아래서 기술하는 최소한의 지표는

알아 두도록 하자.

 

 

 QQQ, VOO, SPY 등

적립식 ETF 투자만 한다면

사실 몰라도 크게 상관없을 것 같다.


 

 

필수용어

(기업조사 시 꼭 확인)

매출 (Revenue)

  • 왜 보냐?
    • 회사가 계속 성장 중인지 가장 먼저 확인.
    • 매출이 꾸준히 늘면, 시장 지배력과 확장성을 갖췄을 가능성이 높다.
  • 어디서 보나?
    • 손익계산서
  • Tip
    • 최근 3~5년 추세를 꼭 보라.
    • 매출이 줄고 있다면 “구조적 침체” 가능성을 의심하라.

영업이익 (Operating Income)

  • 왜 보나?
    • 본업에서 돈을 제대로 벌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 매출이 커도 영업이익이 없으면 지속 가능한 사업이 아니다.
  • 어디서 보나?
    • 손익계산서
  • Tip
    • 매출과 영업이익을 같이 놓고 ‘이익률’을 체크하라.
      • 예: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
      • 업계 평균과 비교하면 경쟁력 감이 잡힌다.

순이익 (Net Income)

  • 왜 보나?
    • 회사가 최종적으로 얼마 벌었는지.
    • EPS 계산의 기초이며, 배당·주가재원이 된다.
  • 어디서 보나?
    • 손익계산서
  • Tip
    • “영업이익은 늘었는데 순이익은 줄었다면?” 이자비용, 일회성 손실이 커졌다는 뜻.
    • 원인까지 확인하라.

현금흐름 (Operating Cash Flow)

  • 왜 보나?
    • “장부상 이익”이 아니라 실제 현금을 벌어들였는지 보여준다.
    • 순이익이 흑자라도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면 재무 위험.
  • 어디서 보나?
    •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 Tip
    • 영업활동현금흐름 > 순이익이면 건전.
    • 반대면 적신호.

부채비율 (Debt to Equity)

  • 왜 보나?
    • 부채 과다 여부를 체크.
    • 부채가 과하면 금리·경기 충격에 취약하다.
  • 어디서 보나?
    • 대차대조표 
  • Tip
    • 동종업계와 비교해라.
    • 1.0(100%) 이상이면 자제하는 게 좋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 왜 보나?
    • 주주 돈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돈을 버는지.
    • 기업 경영진의 실력을 가늠.
  • 어디서 보나?
    • 순이익 ÷ 자기자본
  • Tip
    • 10% 이상이면 양호, 15~20%면 우수.
    • 과도한 부채로 ROE가 부풀려지지 않았는지 꼭 점검.

최소한 알아만 두자

 

EBITDA ( 감가상각 전 영업이익 )

  • 왜 보나?
    • 본업에서 벌어들이는 현금창출력을 보기 위해.
  • 어디서 보나?
    • 손익계산서와 공시 자료에 주석으로 분리 표기됨.
  • Tip
    • EBITDA가 크고 꾸준히 증가하면 현금흐름이 강건하다.
    • PER보다 업종 비교에 유용할 때가 많다.

PER ( 주가수익비율 )

  • 왜 보나?
    • 주가가 순이익의 몇 배로 거래되는지 보려고
    • 기업 가치가 고평가·저평가인지 첫 판단 기준
  • 어디서 보나?
    • 증권사 앱, 금융사이트(야후 파이낸셜, 인베스팅닷컴) 어디든 재무제표란 보면 나옴
  • Tip
    • 동종업계 평균 PER과 비교해라.
    •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는 아니다

PBR ( 주가수익비율 )

  • 왜 보나?
    • 회사의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싼 지 비싼지 판단하려고.
  • 어디서 보나?
    • 증권사 앱, 금융사이트(야후 파이낸셜, 인베스팅닷컴) 어디든 재무제표란 보면 나옴
  • Tip
    • PBR이 1보다 낮으면 해체 시 자산가치보다 싸다는 뜻.
    • 무형자산 비중이 큰 회사는 단순 PBR로 평가하기 어렵다.

 


 

 

너무 어려운데 걍 SOXL 사면 안됨?

ㅅㅂ

 

 

 

한번에 다 외울 필요도 없고

그냥 생각날 떄마다

실제 재무제표랑 비교해가면서 보도록하자

 

 

 

다음 포스팅에선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를 확인하여 

최소한의 기업평가를 해보도록 하겠다.

 

주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