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Stock)

[미국주식/나스닥/종목] 반도체 3배 롱 레버리지 - SOXL (장투, 전망)

반응형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Shares  (SOXL)

반도체1반도체2반도체3

 

티커: SOXL (쏙슬)
현재가: 27.23 $ (25.07.11 데이마켓 기준) 
섹터:  반도체
현재 수익률: 매수X
 


필라델피아 과부 제조기
이혼서류 생성기
 
 
반도체 이미지가 3개다.
3배 레버리지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추종하는 ETF인
PHLX의 3배 레버리지이다.
 
흔히들 티커를 그대로 읽은 쏙슬로 많이 부른다.
반도체 시장의 잠재력에 3배로 투자할 수 있다.
반대로 3배 숏 상품으로 SOXS 가 있다.
 
 

놀란페페

와 3배면 TSLL보다 더 빡세겠네 ㄷㄷ;;

 
 
또 그렇진 않더라
PHLX 자체가 반도체 상위 30개 주식을
모아놓은 ETF 이기 때문에

CEO 아가리 리스크가 적은 SOXL 무빙이
개인 체감상 오히려 덜한 기분이다.
 
 
사실 SOXL 무빙이 덜하다기 보단 테슬라가 미친 거긴 하다.


 
TSLL과 함께 한국인 매수비율이
굉장히 높다. 으마으마하다
 
레버리지 배수가 높을수록
한국인 매수량이 같이 증가한다.
 
각 커뮤니티에 수익인증 자랑 글이 한두 개씩 올라오면
보통 고점이니까 조심하자.
 

차트

 
SOXL의 월봉 차트이다.
올해 초 트럼프 임기를 시작으로
태초의 주가로 돌아갈 뻔했지만
그 뒤로 꾸준하게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구성 종목들은 하기 이미지와 같다.
다음 페이지도 있지만 사실 상위 비중 종목
몇 개만 보면 충분할 것이다.
 

soxl 구성요소
www.schwab.wallst.com

 
 
AMD, 엔비디아, 브로드컴, 퀄컴, 마이크론 등
다들 알만한 기업들로 포함되어 있다.
 
 
현재 트렌드 키워드인 AI에 
수혜를 보고 있는 종목들이기 때문에
 투자 자체는 나쁘지 않다.
 


 

캬 이 정도면 SOXL 장투해도 되겠네ㅋㅋㅋ

 
 
가끔 TQQQ, SOXL, SOXS 등 3배 이상 레버리지를
장투해도 되냐는 글이나 질문들이 보인다.
 
 
레버리지 특성상 횡보기간이 길면 원금손실이 크다.
특히나 TSLL, SOXL 같은 무빙 폭이 큰 종목들은
손해를 더 크게 보게 되니 단기간 스윙만 하도록 하자..
 

화난페페

반도체가 계속 발전하는데
왜 장투 안되는지 반박 해보셈!! 반박!!
(SOXL -18%)

 
 
정말 반도체의 미래에 장기투자를 하고 싶은 거라면
PHLX를 사라
근데 그런 거 아니잖아 걍 단기간에 돈 뽷 땡기고 싶은 거잖아!!
 
 
레버리지 상품은 횡보 시 돈이 녹는데
장투를 하다 보면 횡보장을 만날 확률이 커진다.
 
 
SOXL은 연간 리밸런싱 비용이 꽤 큰 편에 속해서
오래 들고 있으면 리밸런싱 비용이 알게 모르게 쌓인다.
 
 
레버리지가 횡보했을 때 왜 손해가 누적되는지,
리밸런싱 비율은 뭐고 왜 손해가 되는지는
다음 포스팅에 따로 정리할 예정이다.
 
 
암튼 역사적 저점이라고 생각 들지 않으면
장기투자로 SOXL을 들고 있는 건 이론상으론 좋지 않다.
 


 
항상 레버리지 투자하면 인생 망할 것처럼 적어놨지만
사실 AI 발전으로 인해 반도체 관련 섹터가 핫하니
적절한 타점에서 스윙을 치면 꽤 쏠쏠하게 벌 수 있다.
 
물론 잃을 때도 3배이니 조심하고...
 
 
 
물리면 자기도 모르게 SOXL 장투, 전망
이런 거 검색해 볼 텐데 
 
 
이론상으로 레버리지는 장투 할수록 
 큰 상승장을 만나는 게 아닌 이상 개 손해다.
 
 
한 번에 시드 다 갖다 박지 말고 
분할매수는 하면서 불놀이하자
 
 
그리고 손절매 꼭 정해놓고 스탑로스를 걸던지
기준 밑으로 떨어지면 깔끔하게 손절하자.
 


 

상승 예상 요인
- 반도체 섹터 자체의 잠재력, 발전속도 높음

- 당분간 계속 지속될 AI 붐 

하락 예상 요인
- 트럼프 (미중갈등 격화)
- 레버리지 특성상 횡보 시 돈 녹음
- 경기둔화
- 섹터 과열로 인한 단기간 조정

 
 
종합
- 장투 말고 스윙만 하자 

- 분할매수는 필수이며 잘되면 아이스크림 사주라

728x90
반응형